2025년 청년내일저축계좌 가입신청 및 가입조건
2025년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기간 5월이 돌아옵니다. 신청일정은 2025년 5월 2일부터 16일까지 2주간받습니다.
오늘은 2025년 청년내일저축계좌 가입방법 및 지원대상에 대해서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대상 청년이라면 무조건 가입!!!
왜냐구요? 아래 결론을 보시죠?
차상위 초과) 본인 360만원 + 정부지원금 360만원 = 총 720만원 + α(이자)
* 본인 납부금의 최소 2배
차상위 이하) 본인 360만원 + 정부지원금 1,080만원 = 총 1,440만원 + α(이자)
* 본인 납부금의 최소 4배
청년내일저축계좌 가입대상 조건이 제일 까다로운 상품이므로, 4월 미리미리 지원대상조건 등을 확인해서 5월 가입신청에 대비하시기 바랍니다. 지원대상 조건이 까다롭다는 것은 그만큼 혜택이 많다는 반증이기도 합니다. 지원대상자에 선발만 되면 본인 납부금에 최소 2배 ~ 4배까지 받을 수 있는 정책금융상품으로 가입조건 해당하는 청년이라면 필히 무조건 가입해서 사회진출에 기반을 닦는데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는 보건복지부 주관으로 진행되며, 금융위원회에서 제공되는 청년도약계좌와 중복가입이 가능하다고 하니 적극 활용하여 씨드머니를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다만, 희망키움, 내일키움, 희망저축과 같은 유사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청년이라면 지원이 불가능하다고 하니 잘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도입취지
📌 높은 청년 실업률이 지속되고 부모 세대의 대거 퇴직에 따라 청년층이 새로운 빈곤 위험군으로 부상
📌 근로빈곤층 청년의 생계수급자 등으로의 하락을 사전에 예방하고,
중산층으로의 진입 가능성을 높여 빈곤의 대물림 차단 대책 필요
📌 일하는 중간계층 청년이 사회에 안착할 수 있도록 자산형성 지원 및 자립 촉진
청년내일저축계좌는 근로빈곤층 청년의 생계수급자 등으로의 하락을 사전에 예방하고, 일하는 중간계층 청년이 사회에 안착할 수 있도록 자산형성을 지원하고자 합니다. 중위소득 100%이하 청년들에게 1년에 한번씩 가입의 기회를 주는 제도입니다.
2. 2025년 가입신청기간 및 방법
📌 가입신청기간 : 2025년 5월 2일(월) ~ 5월 16일(금)까지(2주간)
📌 가입신청방법
- 온 라 인 : 복지로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 www.bokjiro.go.kr )
경로) 복지로 로그인 → 서비스 신청 → 복지서비스 신청 → 복지급여 신청 → 저소득층 → 자산형성지원(청년내일저축계좌)
- 오프라인 : 동일 시군구내 주민센터 방문 접수 가능
3. 가입대상
아래 연령, 소득기준, 가구소득 3가지를 모두 충족한 청년을 지원합니다.
① 가입연령
-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 신청 당시 만 15세 이상~ 만 39세 이하
- (기준 중위소득 50% 초과 ~ 100% 이하) : 신청 당시 만 19세 이상~ 만 34세 이하
② 근로·사업소득 및 근로활동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현재 근로활동 중이며 월 근로・사업소득이 10만원 이상인 청년
-(기준 중위소득 50% 초과~100% 이하) 현재 근로활동 중이며 월 근로・사업소득이 50만원 초과~250만원 이하인 청년
③ 가구소득: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_아래 표참고
- 국민기초생활보장법상 동일가구 기준 적용
* 소득은 공적자료 기준으로 조사, 공적자료로 소득 확인이 불가능한 경우 예외적용
4. 근로소득장려금(정부지원금) 지원요건
이 정부지원금은 근로를 하는 청년에게 동기를 부여하는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따라서 근로를 하지 않는 청년에게는 지원하지 않는 것이 큰 특징입니다.
📌 매월 10만원 이상 저축을 하고,
📌 3년간 근로활동을 지속하고,
📌 자립역량교육 이수하고,
📌 자금사용계획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5. 본인적립금 및 지원금
본인적립금은 매월 10만원 이상 적립해야 하고, 본인 희망에 따라 최대 50만원까지 적립할 수 있습니다. 다만, 본인적립금 10만원에 지원금 10만원, 본인적립금 30만원에 지원금 30만원입니다. 이렇게 최대 지원금이 10만원, 30만원이므로 본인 지원금에 맞게 적립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 판단됩니다.
6. 정책별 추가지원금
① 근로소득공제금 : 청년내일저축계좌 가입 당시 생계급여 수급가구의 청년이면서 청년 본인의 근로・사업 소득(보장기관 확인소득 제외)이 10만원 초과 시 매월 10만원 적립하고 지급 요건 충족시 전액 지원
② 탈수급장려금 : 가입 당시 생계・의료수급가구였으나 해지 시 생계・의료수급가구에서 모두 벗어난 경우 지원
③ 내일키움장려금 : 가입자가 자활근로사업단*에 전월 12일 이상 성실 참여하고 10만원 저축시 중앙자활 자금에서 20만원 매칭 지원
④ 내일키움수익금 : 가입자가 자활근로사업단에 전월 12일 이상 성실 참여하고 당월에도 참여 시 월 15만원 이내에서 적립
⑤ 시・도 및 시군구 자활기금, 지방비 통합 추가매칭 : 시군구에서 가입자에 대해 추가 매칭을 희망하는 경우
7. 지급 및 환수기준
① 지급 : 본인적립금, 근로소득장려금, 정책별 추가지원금, 이자를 합하여 지급합니다.
② 환수 : 본인적립금 및 이자(단 근로소득장려금 및 정책별 추가지원금 제외)를 환수하며, 환수조건은 아래와 같다.
📌 가입자가 통장가입 기간에 근로활동을 하고 있지 않은 경우
📌 사전 적립중지 신청 없이 본인적립금을 누적 12월 미납 시
📌 자립역량교육 이수 기준 미달 시
📌 자금사용계획서 미제출 시
📌 기타(본인 사망, 압류 및 가압류 만기전 본인요청시, 만기전 본인요청시)
8. 해지사유 및 적용금리
조건이 좋은 만큼 가능한 만기까지 유지해서 목돈을 마려하시길 바랍니다.
# 참고, 2025년 단계별 모집일정
† 부디 지원대상이 되시는 청년분들은 꼭 신청하여 3년_약 1,500만원 목돈을 마련하시길 바랍니다.
'경제와 세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청년도약계좌 완벽정리|청년 5천만원 목돈마련 프로젝트 (6) | 2025.04.23 |
---|---|
종합소득세 추계신고 경비율 이해, 기준경비율과 단순경비율 (0) | 2025.04.22 |
2025년 종합소득세 신고 _ 종합소득세 이해와 신고기간, 신고대상, 신고방법 (2) | 2025.04.21 |
25년 간주임대료 적용 금리 3.5% → 3.1% 하향인하 (0) | 2025.04.09 |
미국 상호관세 발효...한국 25%, 일본 24%, 중국 104% 관세폭탄 (4) | 2025.04.09 |